Content-Length: 103637 | pFad |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C%84%A4

대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본문으로 이동

대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황경   절기  양력
315° 입춘 2/4~5
330° 우수 2/18~19
345° 경칩 3/5~6
춘분 3/20~21
15° 청명 4/4~5
30° 곡우 4/20~21
여름
45° 입하 5/5~6
60° 소만 5/21~22
75° 망종 6/5~6
90° 하지 6/21~22
105° 소서 7/7~8
120° 대서 7/22~23
가을
135° 입추 8/7~8
150° 처서 8/22~24
165° 백로 9/7~8
180° 추분 9/22~23
195° 한로 10/8~9
210° 상강 10/23~24
겨울
225° 입동 11/7~8
240° 소설 11/22~23
255° 대설 12/7~8
270° 동지 12/21~22
285° 소한 1/5~6
300° 대한 1/19~21

대설(大雪)은 24절기의 21번째로, 태양 황경이 255도가 되는 때를 말한다. 이 무렵 많은 눈이 내린다 하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 그러나 이는 중국 화북 지방의 기후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한국의 경우 눈이 많이 오지 않고 넘어가는 경우도 잦다. 한국에서는 12월보다 오히려 1월이나 2월에 평균적으로 더 많은 눈이 내린다. 아무튼 한국에서는 이때 눈이 많이 오면 이듬해 풍년이 든다는 속설이 있는데, 이는 눈이 많이 덮인 보리밭에서는 보온이 잘 되어 보리 싹이 눈 아래에서 따뜻한 겨울을 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력으로는 12월 7일 또는 12월 8일에 해당한다. 기간으로서의 의미도 있어, 이 날에서 다음 절기의 동지 전날까지이다.

계절

[편집]

이 격렬하게 내리기 시작하는 무렵. 「역편람」에서는 「눈 드디어 내려 거듭하는 때에 되었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방어 등 겨울철 물고기 잡이가 활발하고, 동면에 들어가고, 남천의 열매가 붉게 물이 드는 무렵이다.

72후

[편집]

폭설 기간의 72후는 이하대로.

초후
폐새성동(閉塞成冬): 천지의 기분이 차 겨울이 된다 (일본)
할단불명(鶡鴠不鳴): 할단새가 울지 않게 된다 (중국)
차후
웅칩혈(熊蟄穴): 이 동면을 위해 구멍에 숨는다 (일본)
호시교(虎始交): 호랑이가 교미를 시작한다 (중국)
말후
궐어군(鱖魚群): 연어가 모여 강을 오른다 (일본)
여정생(荔挺生): 타래붓꽃이 싹 트기 시작한다 (중국)

기타

[편집]

각주

[편집]
  1. 절기 (한국천문학회 천문학백과) 절기 (한국천문학회 위키천문백과사전) 천문학적으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만 의미가 있고 나머지 20개에 대응하는 용어는 없다. 태양의 적위가 황경에 선형비례하지 않기 때문에 24절기에 따라 태양의 남중고도가 일정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은 아니다. 절기가 계절을 구분하는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지만, 4계절은 입춘, 입하, 입추, 입동 등 4립의 날에서 시작된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절기의 이름이 중국 주나라 때 화북 지방의 날씨에 맞춰지어졌다는 것을 기억한다면 24절기를 현대 동아시아 전역에 엄격하게 적용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및 링크

[편집]








ApplySandwichStrip

pFad - (p)hone/(F)rame/(a)nonymizer/(d)eclutterfier!      Saves Data!


--- a PPN by Garber Painting Akron. With Image Size Reduction included!

Fetched URL: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C%84%A4

Alternative Proxies:

Alternative Proxy

pFad Proxy

pFad v3 Proxy

pFad v4 Pro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