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하수체 샘종

뇌하수체에 생기는 종양의 일종

뇌하수체 샘종 또는 뇌하수체 선종(Pituitary adenomas)은 뇌하수체에 생기는 종양의 일종으로, 성인에서 뇌하수체 호르몬의 과다 및 과소분비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대부분의 뇌하수체 종양은 양성이며 약 35%는 침습성이며 0.1%~0.2%만이 암종이다.[1] 뇌하수체 선종은 모든 두개내 신생물의 10~25%를 차지하며 일반 인구의 추정 유병률은 약 17%이다.[1][2]

뇌하수체 선종
진료과종양학, 내분비학, 신경과, 신경외과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빈도0.0757%

비침습성 및 비분비성 뇌하수체 선종은 임상적 의미뿐만 아니라 문자 그대로 양성인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최근의 메타 분석(Fernández-Balsells, et al. 2011)에 따르면 이 가정을 뒷받침하거나 반박할 수 있는 낮은 품질의 연구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기가 10mm(0.39in)를 초과하는 선종은 거대선종으로 정의되며, 10mm(0.39in)보다 작은 선종은 미세선종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뇌하수체 선종은 미세선종이며 추정 유병률은 16.7%(부검 연구에서 14.4%, 방사선 연구에서 22.5%)이다.[2][3] 대부분의 뇌하수체 미세선종은 종종 진단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으며, 진단된 것들은 종종 부수적인 소견으로 발견되며 우발종(incidentalomas)이라고 한다.

뇌하수체 거대선종은 뇌하수체기능저하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4][5]

뇌하수체 선종은 일반 인구의 약 6명 중 1명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흔한 반면, 수술 치료가 필요한 임상적으로 활동성 뇌하수체 선종은 일반 인구의 약 1,000명 중 1명에 이를 정도로 미치는 영향이 드문 편이다.[6]

임상 양상

편집
  • 두통
  • 시야장애
  • 외안근 마비
  • 뇌하수체기능저하증
  • 시상하부 침범 시 체온 조절 장애, 식욕/갈증 장애, 요붕증, 수면 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치료

편집

프로락틴샘종을 제외하고는 수술이 원칙이다.

각주

편집
  1. Pituitary Tumors Treatment (PDQ®)–Health Professional Version NIH National Cancer Institute
  2. Ezzat S, Asa SL, Couldwell WT, Barr CE, Dodge WE, Vance ML, McCutcheon IE (August 2004). “The prevalence of pituitary adenomas: a systematic review”. 《Cancer》 101 (3): 613–9. doi:10.1002/cncr.20412. PMID 15274075. S2CID 16595581. 
  3. Asa SL (August 2008). “Practical pituitary pathology: what does the pathologist need to know?”. 《Archives of Pathology & Laboratory Medicine》 132 (8): 1231–40. doi:10.5858/2008-132-1231-PPPWDT. PMID 18684022. 
  4. Higham CE, Johannsson G, Shalet SM (November 2016). “Hypopituitarism”. 《Lancet》 388 (10058): 2403–2415. doi:10.1016/S0140-6736(16)30053-8. PMID 27041067. S2CID 208791062. 
  5. Hyperthyroidism unmasked several years after the medical and radiosurgical treatment of an invasive macroprolactinoma inducing hypopituitarism: a case report. L Foppiani, A Ruelle, P Cavazzani, P del Monte – Cases Journal, 2009
  6. Daly AF, Rixhon M, Adam C, Dempegioti A, Tichomirowa MA, Beckers A (December 2006). “High prevalence of pituitary adenomas: a cross-sectional study in the province of Liege, Belgium”.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91 (12): 4769–75. doi:10.1210/jc.2006-1668. PMID 16968795. 

외부 링크

편집


pFad - Phonifier reborn

Pfad - The Proxy pFad of © 2024 Garber Painting. All rights reserved.

Note: This service is not intended for secure transactions such as banking, social media, email, or purchasing. Use at your own risk. We assume no liability whatsoever for broken pages.


Alternative Proxies:

Alternative Proxy

pFad Proxy

pFad v3 Proxy

pFad v4 Pro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