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온 중성미자
보이기
(뮤 중성미자에서 넘어옴)
구성 | 기본입자 |
---|---|
통계 | 헤르미온 |
세대 | 2 |
상호작용 | 중력, 약력 |
상태 | 발견 |
기호 | Vμ |
반입자 | 반뮤 중성미자 |
이론 | 울프강 파울리 |
발견 | 리언 레더먼 |
질량 | 0.13MeV |
평균수명 | 안정 |
전하 | 0 |
대전 반지름 | 0.8am |
색전하 | 없음 |
스핀 | 1/2 |
스핀 상태 | 1 |
경입자수 | 1 |
중입자수 | 0 |
기묘도 | 0 |
맵시 | 0 |
Bottomness | 0 |
Topness | 0 |
아이소스핀 | 0 |
약한 아이소스핀 | 0 |
Weak isospin projection | 0 |
초전하 | 0 |
약한 초전하 | 0 |
카이랄성 | 왼쪽 |
B − L | -1 |
뮤온 중성미자(영어: muon neutrino, 기호:
ν
μ)는 전기 전하가 없는 경입자로, 기본 아원자 입자이다. 뮤온과 같이 2세대를 이루기 때문에 뮤온 중성미자라고 이름이 붙혀졌다. 뮤온 중성미자는 1940년대 초에 여러 사람에 의해 처음 추측되었으며 1962년 리언 레더먼과 멜빈 슈워츠, 잭 스타인버거가 공동으로 발견하여, 그 공로로 1988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발견
[편집]1962년에 리언 레더먼과 멜빈 슈워츠, 잭 스타인버거가 브룩헤이븐 국립연구소에서 실험을 통해 중성미자가 한 종류 이상 존재하는 것을 뮤온 중성미자(이미 neutretto(중성 중간자)라는 이름으로 가설이 세워져 있었다[1])와의 상호작용을 처음으로 감지해서 증명하여,[2] 1988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3]
속도
[편집]2011년 9월에 OPERA 연구자들은 뮤온 중성미자가 분명히 광속보다 빠르게 이동한다고 발표했다. 이 결과는 2011년 11월에 두 번째 실험으로 다시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과학 공동체에서 회의적인 시각으로 보았으며, 더 많은 실험으로 이 현상을 조사했다. 2012년 3월 ICARUS팀이 OPERA의 결과와 직접적으로 모순되는 결과를 발표했다.[4]
이후, 2012년 7월에 중성미자의 변칙적인 초광속 전파는 그란사소의 광섬유 타이밍 시스템의 잘못된 요소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교정한 후에 측정된 중성미자는 실험 오차 내로 광속으로 전파되는 것으로 나다났다.[5]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I.V. Anicin (2005). “The Neutrino - Its Past, Present and Future”. arXiv:physics/0503172.
- ↑ G. Danby; J.-M. Gaillard; K. Goulianos; L. M. Lederman; N. B. Mistry; M. Schwartz; J. Steinberger (1962). “Observation of high-energy neutrino reactions and the existence of two kinds of neutrinos”. 《Physical Review Letters》 9 (1): 36. Bibcode:1962PhRvL...9...36D. doi:10.1103/PhysRevLett.9.36.
- ↑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88”. 노벨 재단. 2010년 2월 11일에 확인함.
- ↑ Anicin, Ivan V.; Aprili, P.; Baiboussinov, B.; Baldo Ceolin, M.; Benetti, P.; Calligarich, E.; Canci, N.; Centro, S.; Cesana, A.; Cieślik, K.; Cline, D.B.; Cocco, A.G.; Dabrowska, A.; Dequal, D.; Dermenev, A.; Dolfini, R.; Farnese, C.; Fava, A.; Ferrari, A.; Fiorillo, G.; Gibin, D.; Gigli Berzolari, A.; Gninenko, S.; Guglielmi, A.; Haranczyk, M.; Holeczek, J.; Ivashkin, A.; Kisiel, J.; Kochanek, I.; 외. (2012). “Measurement of the neutrino velocity with the ICARUS detector at the CNGS beam”. 《Physics Letters B》 713 (1): 17–22. arXiv:1203.3433v3. Bibcode:2012PhLB..713...17A. doi:10.1016/j.physletb.2012.05.033.
- ↑ “OPERA experiment reports anomaly in flight time of neutrinos from CERN to Gran Sasso (UPDATE 8 June 2012)”. 《CERN press office》. 2012년 6월 8일. 2013년 4월 19일에 확인함.
추가 문헌
[편집]- 리언 레더먼 (1988). “Observations in Particle Physics from Two Neutrinos to the Standard Model” (PDF). 《Nobel Lectures》. 노벨 재단. 2010년 2월 11일에 확인함.
- 멜빈 슈워츠 (1988). “The First High Energy Neutrino Experiment” (PDF). 《Nobel Lectures》. 노벨 재단. 2010년 2월 11일에 확인함.
- 잭 스타인버거 (1988). “Experiments with High-Energy Neutrino Beams” (PDF). 《Nobel Lectures》. 노벨 재단. 2010년 2월 1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