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K (12권2호) PDF
INK (12권2호) PDF
INK (12권2호) PDF
제12권 제2호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한국언어문화학 제12권 제2호, 2015년 8월
차 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한국언어문화학 Vol. 12 No. 2, August 2015
Table of Contents
Kim Minsu A study on the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in the Framework Act
on the National Language
-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 ·········································· 23
Kim Hyunmin The Role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for Employment
of Marriage Immigrants ································································ 75
기 준 성
(Ki Junsung)
1
2 기준성
1. 들어가기
2. 연구 대상 및 방법
3. 선행 연구
모의 수업
▪모의 수업은 한국어 학습자나 동료 수강생을 대상으로 진행할 수 있음.
▪전공 학생 전원이 1회 이상의 기회를 갖도록 함.
▪교안 작성에 대한 안내, 모의 수업에 대한 피드백 등 담당 교수의 지도가 이루어
져야 함.
강의 실습
▪강의 실습은 국내외 한국어교육 기관에서 외국인이나 재외동포 또는 다문화
가족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수업이어야 함.
▪강의 실습 전후, 실습에 대한 피드백이나 평가 등 담당 교수의 지도가 이루어져
야 함.
▪실습한 기관에서 반드시 실습 확인서를 발급받도록 함.
계 26
듣기 2
말하기 25
기능 영역 읽기 0
쓰기 1
무응답 1
계 29
정보 문화 0
행동 문화 2
태도 영역 성취 문화 1
기타 0
무응답 0
계 3
기타 영역 - 0
계 0
총계 58
2회 이상의 오프라인 실습 24
2회 이상의 온라인 실습 2
각 1회 이상의 오프라인-온라인
실습 방식 32
혼합 실습
기타 0
무응답 0
계 58
5. 나가기
참고문헌
날짜 년 월 일
1. 이름
2. 생년월일 년 월 일
3. 성별
대학교 재학 ( )
대학교 졸업 ( )
4. 최종 학력 대학원 졸업 ( )
전공
( )
5. 거주 지역 (시, 도 단위)
학번: 이름:
감사합니다.
한국어교육실습 내용과 방법에 관한 학습자 인식 연구 21
기 준 성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37길 60
120-090
전화번호: 02-2287-0205
전자우편: z3230699@scau.ac.kr
국문초록
기준성(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김 민 수
(Kim Minsu)
23
24 김민수
1. 들어가기
5) 한국어 교육은 상대적으로 학문적 역사가 짧다. 따라서 당시에 한국어 교육만의
특성을 반영한 고유한 교육 이론이 미처 확립되지 못한 것도 이러한 양상의 원인일
것이다.
6) 송향근(2012)에서도 비학위 단기 양성 과정이 전문성을 보장하기 힘듦을 지적하며
교육의 내실화 및 제도 정비를 촉구하였다.
국어기본법 상 한국어 교원자격제도 연구 27
8) 이해영(2002:203)에서 인용.
30 김민수
9) 이해영(2002)에서 재인용.
국어기본법 상 한국어 교원자격제도 연구 31
홍콩 4 0.42
태국 4 0.42
뉴질랜드 3 0,31
러시아 3 0.31
미얀마 3 0,31
몽골 3 0,31
기타12) 19 2.01
총 27개국 944 -
3. 교원자격제도의 발전 방향
3.2. 비정규 기관 관련 제도 정비
충족시키지는 못한다.19)
또한 비학위 과정 이수자에게 부여하는 3급 자격 제도 폐지의 근거는
한국어 교육 관련 환경의 변화에서도 찾을 수 있다. 2005년 국어기본법
시행령이 제정될 당시에는 한국어 교원 수요에 비해 학위 과정을 통해
배출할 수 있는 한국어 교원의 수가 부족했다. 이에 비학위과정을 통한
3급 취득자들을 통해 필요한 교원의 수를 충당하였다. 그러나 현재에는
많은 대학(원)에서 한국어 교육 전공자를 배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박춘태・권연진(2010)에서는 양성과정 수료 후 시험을 통한 3급 자격의
취득은 전공과 무용론을 불러올 수 있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같은 연구와
최정순(2006)에서는 교원으로서 전문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비학위과정
수료 후 3급 자격 취득자를 대상으로 한 교원연수과정(재교육)의 정례화・
상설화도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이외에 김정숙(2011)에서는 현행 한국어 교원자격과는 구분되는 준교원
제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준교원 자격제도가 마련되면 자원봉사 차원
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원들은 준교원이 되도록 하여 좀 더
수월하게 자격을 취득할 수 있게 하자는 견해가 송향근 외(2007), 조현성
외(2008) 등에서 제안되었다.20) 같은 연구에서는 준교원 제도가 도입되면
자원봉사 차원에서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는 국내외 한국어 교원들이 자격
취득을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으로 보이며, 그 결과 자신감과
긍지를 가지고 한국어 교육에 임할 수 있도록 하는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위와 관련하여 자격증 취득자를 양산하고 있는 온라인 자격취득
교육기관에 대해서는 기관인증제가 필요하다. 이에 대하여 최용기(2009b)
에서는 한국어교원 양성 기관에 대한 인증제도는 대학(원) 관련 학과가
아니라 교원 단기 양성 과정에 한정된다고 하였다. 대학(원) 관련 학과는
교육과학기술부에서 학과 개설을 인정받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인증이 필
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같은 연구에서는 기관 인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3.3. 교원의 처우 개선
4. 맺음말
26) 이하 ‘한대협’
국어기본법 상 한국어 교원자격제도 연구 41
참고문헌
김 민 수
상명대학교 국제언어문화교육원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길 133
110-809
전화번호: 010-4763-2625
전자우편: 1013min@naver.com
국문초록
김민수(상명대학교 국제언어문화교육원)
김 승 연
(Kim Seungyeon)
45
46 김승연
methods in NIE for the studends who are learning Korean. Besides, it is
hopeful that the graphic organizer may be applied to develop the
functional Korean language textbooks(Chung-Ang University).
1. 서론
이종화, 2011; 장경원, 2011; 정보경, 2014 등)가 있다. 두 번째는 그래픽
조직자의 효과 및 영향에 대해 논의한 연구(천경록, 1995; 김성은, 2005;
한정선・이수나, 2005; 한안나, 2006; 강옥이・전현선, 2008; 박혜란, 2008;
정혜은・강호감・최선영, 2008; 강옥려・이창선, 2011; 김회수, 2011; 이유
진, 2011; 김은수, 2012; 이유진・강이철, 2012; 전보람・이은주, 2013 등)
가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가 그래픽 조직자를 읽기나 듣기 등과 같이 이해
영역에서 주로 활용하였다는 점은 이 연구가 읽기 텍스트로서의 신문 기사
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공통분모를 갖는다. 그렇
지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NIE에 초점을 맞춘 논의가 없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차이를 지닌다.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할 것이다. 2장에서는 먼저 한국어 교육에 있어
서 읽기 텍스트로서 NIE의 교육적인 의의 및 신문 기사 텍스트의 종류와
유형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읽기 텍스트의 구조를 시각화하여
나타낼 수 있는 그래픽 조직자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3장에서는 먼저,
국내 신문 중에서 NIE를 지면으로 할당하고 있는 신문의 읽기 텍스트
총 851개를 연구대상으로 삼을 것이다.2) 이를 바탕으로 신문 기사가 유형
별로 어떠한 텍스트 구조를 나타내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NIE의 한 방법으로 추상적인 텍스트를
시각적으로 구조화하여 나타낼 수 있는 그래픽 조직자를 제시하고 그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것이다. 또한 이 연구에
서 논의한 그래픽 조직자는 읽기 텍스트뿐만 아니라 향후 기능별 한국어
교재를 개발할 때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2. 이론적 배경
① ②
<그림 1> 기술・집합 구조의 그래픽 조직자
변용이 가능하다.
8) 텍스트 유형 분류에 대한 논의는 학자에 따라 다양한데 이 연구에서는 박영목
(1996: 42)의 분류를 기본으로 따르고자 한다.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NIE 연구 55
① ②
<그림 2> 원인・결과 구조의 그래픽 조직자
① ②
<그림 4> 비교・대조 구조의 그래픽 조직자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NIE 연구 57
① ②
<그림 5> 과정・순서 구조와 논의 구조의 그래픽 조직자
3. 신문 기사 텍스트의 유형별 표현 양상
3.1. 텍스트 유형 분석 결과
4. 결론
참고문헌
237-265쪽.
이미나(2013), NIE 텍스트로서의 전략적 vs. 이슈적 뉴스가 청소년의 정치태도에
미치는 효과, 시민교육연구 45-4, 한국사회과교육학회, 167-201쪽.
이미지・차경애(2012), 어린이 영자신문을 활용한 초등영어 읽기-쓰기 통합지도
연구, 초등영어교육 18-1,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97-223쪽.
이유진(2011), 그래픽조직자를 활용한 개념모형수업의 효과분석, 경북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유진・강이철(2010), 개념학습을 위한 그래픽 조직자 선정 전략, 교육공학연구
26-4, 한국교육공학회, 1-26쪽.
이유진・강이철(2012), 그래픽조직자를 활용한 개념수업프로그램의 효과분석,
교육공학연구 29-3, 한국교육공학회, 471-496쪽.
이정원・이태옥(2007), 영자신문을 활용한 고등학생의 영어 독해능력 향상에 관
한 사례 연구, 영어어문교육 13-1,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159-180쪽.
이정현(2014), 한국어교육에서 쓰기 내용지식 구성 능력 향상을 위한 신문 활용
교육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학술대회 2014, 국제한국언어문화
학회, 64-77쪽.
이종화(2011), 담화 구조 인지 중심 영어 읽기 수업, 현대영어교육 12-4, 현대영
어교육학회, 397-412쪽.
이지영(2008), 한국어 교재 구성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5-2, 국제한국언어문화
학회, 195-224쪽.
이철우・문종대・안차수(2010), 한국 NIE 실태분석과 개선방향, 서울: 한국언
론진흥재단.
이홍매(2004),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신문을 통한 한자어 교육, 한국언어문화
학 1-1,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83-198쪽.
장경원(2011), 학습자 중심 교육에서 ‘블랭크 차트’의 활용전략에 대한 연구, 교
육방법연구 23-2, 한국교육방법학회, 299-321쪽.
전보람・이은주(2013), 그래픽 조직자와 개요작성이 성인 영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Foreign languages education 20-3,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41-168쪽.
정보경(2014), 도식조직자(Grapic Organizer)를 활용한 고등학교 중국어1 문법
지도 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혜은・강호감・최선영(2008), 그래픽 조직자(Graphic Organizers)를 활용한 초
등과학 수업이 과학 학업 성취도 및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 4학년 동물의
생김새와 암수 단원을 중심으로, 생물교육 36-4, 한국생물교육학회,
468-477쪽.
천경록(1995), 도해 조직자 지도가 독해에 미치는 효과, 국어교육 89, 한국국어
교육연구회, 199-218쪽.
72 김승연
김 승 연
중앙대학교 한국어교육원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114길 63, 107호
135-872
전화번호: 010-5300-0365
전자우편: sylviasykim@daum.net
국문초록
김승연(중앙대학교)
14)
결혼이민자 취업을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
The Role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for Employment of Marriage
Immigrants
김 현 민
(Kim Hyunmin)
75
76 김현민
1. 서론
2. 결혼이민자 취업 실태 및 정부 프로그램 분석
2.1. 결혼이민자 취업 실태
2012년 전체 1.9 19.4 16.6 10.3 12.2 5.8 9.2 11.6 13.0 - 100.0
경제활동 여성 0.5 21.1 18.8 16.3 14.6 5.6 3.1 3.5 16.3 - 100.0
인구조사 남성 2.9 18.2 15.0 6.0 10.5 5.9 13.6 17.4 10.6 - 100.0
(자료: 통계청, 「2012년 경제활동인구조사」)
3.1.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의의 및 현황
진행
다문화가족 4.21
과정
통합 4.13
교육 교육
4.05
효과
진행
프로 4.25
종합 취업 과정
그램 4.09 3.99
만족도 교육 교육
만족도 3.73
효과
진행
나눔봉사 4.22
과정
및 자조 4.12
모임 교육
4.02
효과
(자료: 2014년 한국건강가정진흥원에서 진행한 만족도 및 성과도 조사 보고서)
멘토링·자원봉사단
건강하게 정착한 다문화가족이 봉사자로 활동하여 다문화가족
등 지역사회 민간자원
의 자긍심 향상 및 지역사회 인적자원 활용 목적
활용 프로그램
4.3. 사전 방문제도 구축
(사전 방문제도)
취업지원
전문 인력 (맞춤형 정보교육 프로그램)
배치 <정부기관>
5. 결론
참고문헌
김 현 민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 종합강의동 BA1410
602-760
전화번호: 051-200-8461
전자우편: dkhsdd@hanmail.net
국문초록
결혼이민자 취업을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
김현민(동아대학교)
민 현 식
(Min Hyunsik)
97
98 민현식
2. 규범 언어와 현실 언어
2) 표준국어대사전 참고
만큼 체언이나 조사의 바로 뒤에 붙어 앞말과 비슷한 정도나 한도임을
한국어의 변화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접근 101
(0) 미군정: 해방둥이,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민족, 독립, 자유, 38따
라지(실향민), 주비(籌備)위원회(해방 2개월 만에 창단된 정치 사회단체
무려 250여개), 사회주의, 공산주의, 민주주의, 빨갱이, 빨치산, 양공주,
양색시, 유엔마담, “미국놈 믿지 말고 소련놈에 속지 말라 일본놈 일어나
니 조선사람 조심하세”
(1) 제1 공화국: 이승만 정부. 1950년 6.25 세대(사변둥이), 농지개혁, 냉전,
전쟁, 휴전, 북진통일, 댄스홀, 자유부인, 춤바람, 부정부패, 빽, 국물, 사바
사바, 와이로, 민주당의 “못살겠다 갈아보자”와 자유당의 “갈아 봤자 더
못산다.”, 신익희 급서(急逝)와 유행가 ‘비 내리는 호남선’, 인의 장막과
‘지당하십니다’ 지당파, 귀하신 몸(가짜 이강석 사건)
4. 한국어의 변화
4.1. 발음의 변화
(1) ㄴ 첨가
① ㄴ 첨가 오용: 고쳐[곤쳐*], 분열[분녈*], 등용문[등뇽문*]
② ㄴ 첨가 필수: 색연필[생년필], 영업용[영엄뇽]
③ ㄴ 첨가 임의 허용: 검열[검녈/거멸], 금융[금늉/그뮹]
(2) ㄹ 첨가
① ㄹ 첨가 오용: ‘(휘파람을) 불어주는[불러주는*], 자르다[잘르다*],
촬영[촬령*], 일요일[일료일*], 아끼려고[아낄려고*], (보따리를) 풀
어[풀러*], 으르다[을르다*]’ 등의 ㄹ첨가는 잘못이라 오용 발음을
교정하는 방향으로 훈련해야 한다.
② ㄹ 첨가 의미 대립: ‘날아≠날라, 늘이다≠늘리다, 벌이다≠벌리다’류는
ㄹ첨가시 구별되므로 주의하게 한다.
③ ㄹ 첨가 필수: 표준발음법 29항 붙임 1처럼 합성어나 파생어 구조에서
는 ㄹ 첨가가 원칙이므로 ‘물약[물략], 설익다[설릭따], 유들유들[유
들류들]’로 발음해야 한다.
(3) 된소리화
① 평기평음형(平記平音型)12): 거[꺼*]꾸로, 거[꺼*]리낌, 곱살(이)끼다,
곶감, 제거예요(제꺼예요*), 번데기, 자투리, 조금, 숙[쑥*]맥, 거시기
[거시키*], 땅거미(黃昏. cf. 땅거[꺼]미: 곤충). 감[깜*]쪽같이
② 평기경음형(平記硬音型): 깍두[뚜]기, 깝죽[쭉]거리다, 깍듯[뜻]이(깍
뜻이*, 깎듯이*), 농지[찌]거리, 눈곱[꼽], 눈살[쌀], 등살[쌀] (cf. 등
쌀), 물살, 쑥덕거리다, 이맛살, 안간힘, 으름장[짱], 얼음장[짱], 새침
데[떼]기, 서슴지[찌], 허섭스[쓰]레기(=허접쓰레기), 마늘종[쫑]
③ 평-경음(平-硬音) 쌍형: 강마르다/깡마르다, 거칠하다/꺼칠하다, 괴까
다롭다/꾀까다롭다, 구부리다/꾸부리다, 깜박/깜빡, 꼬박/꼬빡, 끄덕/
끄떡, 구기다/꾸기다, 벋어가다/뻗어가다, 고까=꼬까(=때때)
한다.
한글전용이 가속화하면서 한자어의 장단현상은 교육 내용에서 포기된
상태인데 아직은 상당히 보전될 필요가 있다.
(1) 조사의 변화
다음의 예에서 어느 것이 맞는지 판단하여 보면 학자들도 두 의견이
나온다.
(2) 어미의 변화
다음 우측 *표 용례는 사전에서 허용하지 않는 사항인데 현대 입말에서
세력을 형성하고 있다.
(3) 복수 표준 형태의 증가
다음 우측 용례는 표준어 규정 25항에서 비표준형으로 본 형태들인데
상당히 세력을 형성하고 있다.
(4) 준말 축약어의 증가
통신언어가 발달하면서 시간 절약을 위해 단어를 줄여 쓰는 현상이 보편
4.3. 문장(통사)의 변화
(1) 높임법의 변화
현대국어에서 가장 큰 통사적 변화는 높임법에서 ‘하오체, 하게체’와
같은 등분이 약화되고 ‘해요체’와 ‘해체’가 확산된 점이다. 이는 한국 사회
가 신분제에 따른 계급사회를 벗어나 만민평등의 민주사회로 변하면서
말차림 등급의 복잡함을 피하고 해요체와 해체로 단순화하는 추세에 기인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일제시대에 최현배(1937)는 ‘우리말본’에서 국어의 높임법을 하십시오
체, 하오체, 하게체, 해라체의 네 등분을 설정하고 해체(반말)를 따로 두어
5종 체계로 기술하여 해요체를 아직 설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자료들에
따르면 해요체는 근대 말 신소설 이래로 입말과 여성어에서 잘 쓰이고
있었는데도 최현배의 판단으로는 높임법의 등분 자격을 갖추지 못한 것으
로 보았다.
국어에서 해요체가 주목받은 것은 성기철(1985)에서 해요체를 설정할
것을 주장하면서이니 성기철(2007)에서도 현대 경어법에서 가장 큰 변화
는 해요체와 해체의 확산이며 해요체의 확산은 합쇼체(하십시오체)와 하오
114 민현식
(2) 높임법의 과잉 변화
국어에는 다음과 같이 존귀자에 관련한 것을 높이는 간접높임법이 있다.
(3) 피동 표현 ‘되다’
현대어에서 능동적 ‘하다’보다 피동적 ‘되다’가 널리 쓰이는데 이는 공손
전략과 관계된다. 가령 자기의 주관적 주장의 표현에서도 우리는 ‘생각한
다’라고 하기보다는 ‘생각된다’라고 조심스럽게 말한다. 생각은 스스로
하는 것임에도 그렇다. 이는 그만큼 자기주장에 대한 겸양의 공손 전략으로
볼 수 있다.
(4) 인용 표현 ‘라고’
현대 한국어의 입말에서 ‘고’로 해도 될 것을 ‘라고’로 하는 경우가 일반
적이다.
18) 인터넷에서는 높임법 예의 판단이 모호한 새로운 시도로 ‘하오체, 음슴체, 줌마체,
합쇼체’가 쓰인다고 한다. 중앙일보 2015.4.25., [임문영의 호모디지쿠스] “하오
체・음슴체・줌마체・합쇼체 … 예의 기준 모호한 인터넷 대화 방식” 참고.
116 민현식
(5) 시간 표현
현대국어에서 ‘-았었-’이 과거완료 번역투나 대과거에 쓰이는데 이들은
‘-았/었-’만으로 고쳐도 아무 문제가 없다. 단순과거 표현을 공연히 ‘-았었-’
으로 중복해서 쓰는 경우가 많으니 ‘철수가 왔다.’를 굳이 ‘철수가 왔었다’
로 할 필요는 없다. 미래 추측의 ‘-겠-’은 공손 표현으로 볼 수도 있다.
(6) ‘되다’의 용법 확산
{건강한 나날, 좋은 시간, 행복한 결혼} 되세요: ‘되다’가 어떠한 시간이
나 그런 상황을 누리라거나 이루라는 희망 표현에서 잘 쓰인다. 다음 표현
의 ‘되다’의 용법도 오용으로만 볼 것이 아니다. 우측 형태로 씀이 더 간결
하지만 공손 차원의 용법으로 다양하게 확산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7) 번역어투의 범람
광복 후에 우리말 도로 찾기 운동을 시작으로 지속적인 국어순화 운동을
통해 일본어와 영미 외국어에 순화에 힘썼으나 아직도 일본계 외래어를
흔히 볼 수 있다. ‘곤색(紺色, こんいろ) > 진남색. 감청색; 기스(きず) >
흠, 상처; 노가다(どかた) > 노동자. 막노동꾼; 다대기(たたき) > 다진 양념;
단도리(だんどり) > 준비, 단속; 뗑깡(てんかん) > 생떼, 행패. 억지; 뗑뗑이
가라(てんてんがら) > 점박이 무늬, 물방울무늬; 똔똔(とんとん) > 득실
없음, 본전; 사라(さら) > 접시; 셋셋세(せっせっせ) > 짝짝짝; 소데나시(そ
でなし) > 민소매’처럼 여전히 쓰이는 일본어가 많다. 그런데 문장체에서도
광복 이후 견고히 남아 있는 것이 일본 문체와 영미 문체의 유입으로 퍼져
있는 번역어투이다.
4.5. 의미의 변화
5. 맺음말
참고문헌
민 현 식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151-748
전화번호: 02-880-7661
전자우편: minhs@snu.ac.kr
국문초록
민현식(서울대학교)
22)
박 수 진
(Park Sujin)
125
126 박수진
1. 머리말
2. 담화 문법과 서사 담화의 특성
3. 한국어 학습자의 서사 담화 분석
3.1. 연구 방법 및 연구 문제
(연구 문제)
A.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서사 담화에 나타난 담화 구조는
어떠한가?
B. 서사 담화 구조와 연관되어 나타난 {는}, {가} 조사와 시제의 사용 양상은
어떠한가?
C. 담화 유형에 따른 담화 구조와 {는}, {가} 조사와 시제의 사용 양상은
어떠한가?
3.2. 서사 담화 구조 분석
3.3.2. 시제의 선택
다음은 학습자와 모어 화자의 전경정보와 배경정보에 따른 시제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한국어 학습자 서사의 담화적 특성 143
서사 유형 총계 총계
시제
과거 비과거 % 과거 비과거 %
집단 (T-unit) (T-unit)
96 4 100 78 22 100
학습자
비개인적 (294) (12) (306) (162) (46) (208)
서사 81 19 100 57 43 100
모어화자
(47) (11) (58) (26) (20) (46)
98 2 100 44 56 100
학습자
개인화 (80) (2) (82) (78) (101) (179)
서사 5 95 100
모어화자 0 0 0
(2) (40) (42)
95 5 100 56 44 100
학습자
개인적 (779) (44) (823) (1285) (1008) (2293)
서사 28 72 100 34 66 100
모어화자
(89) (234) (323) (210) (414) (624)
4. 맺음말
참고문헌
박 수 진
영남대학교 국제학부
경북 경산시 대학로 280
712-749
전화번호: 010-3172-5172
전자우편: bobae@ynu.ac.kr
국문초록
박수진(영남대학교)
한국어교육에서 쓰기 지식 교육에 대한 연구
-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eaching of
Writing Knowledge in KFL
- Focused on presentation papers by
Korean learners of novice level -
이 수 정
(Lee Sujeong)
155
156 이수정
papers.
Through the presentation papers analysis, writing class based on the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as Writing Knowledge
need to be formed from novice level. Writing textbook also should reflect
Context Knowledge and Linguistic Knowledge as educational
contents(Seoul National University).
1. 서론
2. 쓰기 지식
2.1. 쓰기 지식의 성격
2.2. 쓰기 지식에 대한 논의
3. 한국어교육에서 교육 내용으로서의 쓰기 지식
작문 처리 프로그램
장기 기억
과제 환경
과제조사하기 아이디어
생성 사전지식
입력
:쓰기과제
과정
통제 수사적
지식
아이디어
텍스트출력 텍스트 생성
조직하기 언어지식
3.1. 내용 지식
3.2. 언어 지식
3.3. 맥락 지식
3.4. 과정 지식
4.1. 분석 대상
4.2. 판별 기준
4.2.1. 맥락 지식의 판별 기준
맥락 지식은 필자가 독자를 인식하고 있는지, 발표문의 장르 유형이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본고에서 사용한 학습자들의 작문은 발표
문으로서, 기존의 초급 학습자들의 쓰기 과제인 자기 표현적 글쓰기와
달리 반드시 필요한 양식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학습자에게 맥락 지식이
부족하다면, 글에서도 드러날 것이다.
맥락 지식의 측정은 학습자가 발표의 담화 구조를 알고 있는지를 확인하
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발표의 담화 구조는 이해영(2008)을 참고하였다.
이해영(2008)에서는 구두 발표는 내용을 어떻게 전개하고 구조화하는지가
매우 중요하다고 언급하며 Labov(1972)와 Dudley-Evans & St. John(1998)
에서 진행된 담화 연구의 틀을 바탕으로 구두 발표 담화의 틀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4.2.2. 언어 지식의 판별 기준
언어 지식의 경우에는 표기(한글 맞춤법), 문장, 단락 차원으로 층위를
나누어 기술하였다. 표기는 한글 맞춤법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문장 단위는
170 이수정
4.3. 분석 결과
4.3.1. 맥락 지식에 대한 오류 빈도
작문은 모두 41편으로, 모두 모어 화자 교사의 피드백이 되어 있는 초고
이다. 41편의 작문을 대상으로 <표 3>의 담화 구조를 기준으로 하여 학습자
의 맥락 지식 반영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교육에서 쓰기 지식 교육에 대한 연구 171
1) 도입
상위구조의 도입에 나타나는 인사와 시작 알림은 전체 41편의 작문에서
3편을 제외하고 나타나고 있어 약 4.2%의 비교적 낮은 오류율을 보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2) 개요와 본론 전개
가장 빈번하게 생략되는 것은 개요, 즉 본론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
와 개관이 없다는 점이다. 39편이 개요를 포함하지 않고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고 있어서 맥락 지식에 대한 전체 오류율 중 가장 높은 오류율을
보였다. 대부분의 경우 개요 설명이나 구체적인 안내 없이 자기소개 후
바로 본문을 시작하고 있었다. 아래는 개요를 포함한 작문으로, 앞으로
할 내용에 대한 안내와 개관이 나타난다.
3) 마무리
마무리 부분에서 본론의 내용을 마무리하고 발표의 종결을 알리는 부분
은 각각 2편, 8편에서 생략되고 있었으며 마무리 인사는 모든 작문 원고에
서 나타났다. 마무리 인사는 앞서 말한 것처럼 인쇄물로 배부된 과제 공지
4.3.2. 언어 지식에 대한 오류 빈도
언어 지식은 <표 4>의 언어 지식의 범주와 하위 구조를 기준으로 하여
학습자의 언어 지식 반영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표기 오류
표기 오류는 맞춤법에 어긋나는 표기와 띄어쓰기 오류를 조사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경우를 모두 표기 오류로 보았다.
2) 문장 오류
문장 오류의 경우 문장 성분의 누락, 문장 구성 성분의 잘못된 호응,
시제 오류, 조사의 생락이나 오류, 어미의 잘못된 사용, 잘못된 어휘의
사용 등의 세부 범주로 분석하였다.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은 ‘조사의
생략이나 오류’로 약 40%의 오류율을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어미의 잘못
된 사용’, ‘문장 구성 성분의 잘못된 호응’이 각각 18.5%, 16.3%로 그 뒤를
이었다. 가장 오류율이 낮은 것은 ‘문장 구성 성분의 잘못된 호응’으로,
약 3%의 오류율을 보였다.
호응 관계는 넓은 의미에서는 문장 성분 간의 호응을 말하지만, 보다
좁은 의미에서는 문장 성분이 고정적으로 묶여서 이루어지는 호응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후자를 호응 관계에 대한 본 연구의 판별 기준으로 한정하였
다. 예를 들어, 전자에 해당하는 목적어와 서술어의 잘못된 호응(“저는
한국어가 좋아해요”)은 ‘조사의 생략이나 오류’로 보았다. 대신 부정의
호응이나 가정의 호응, 의문의 호응 등 고정적으로 동반해야 하는 호응
관계는 ‘문장 구성 성분의 잘못된 호응’으로 판단하였다. 예를 들어, “저는
한국어교육에서 쓰기 지식 교육에 대한 연구 175
3) 단락 단위의 오류
단락 단위의 오류의 경우 단락이 잘못 구분되어 있거나 단락 내에서의
주제의 일관성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 단락 사이가 연결이 자연스럽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은 단락 내 주제의 일관성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로, 서로 연관이 없는 화제 거리가 하나의 단락 안에
쓰여 있는 경우가 많았다.
5. 결론
참고문헌
이 수 정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한국어교육센터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151-742
전자우편: mj79@snu.ac.kr
국문초록
한국어교육에서 쓰기 지식 교육에 대한 연구
-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문을 중심으로 -
이수정(서울대학교)
상호문화성에 기반 한 문학 독서교육
Literary Reading Education based on
Interculturality
이 준 영
(Lee Joonyoung)
183
184 이준영
145-146).
4) 조동일(1997)에서 “사람은 신명풀이를 해야한다. 신명이 말라버리면 죽는다.”는
말로 신명풀이의 본질을 명료하게 드러내고 있다. 이 말을 풀어보면 ① 평시에
신명은 억압되어 있다. ② 일정한 계기가 마련되면 억압된 신명이 해방된다. ③
그러나 그것은 일시적인 것이다. ④ 따라서 신명풀이와 신명의 억압은 순환적
관계에 있다. ⑤ 이 순환적 관계가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않아 억압된 신명이 풀려나
지 않으면 신명이 고갈되기 때문에 인간은 살아가기 어렵다(조동일, 1997: 156).
198 이준영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이쿠’의 전통과 ‘사무라이 문화’의 문화적 전통은 <설국>에 다양하게
‘훈습’되어 있다. 그러면 ‘상호문화성’의 관점에서 <설국>을 읽는 방법은
우선 일본문화의 지형에 대한 인정을 바탕으로 등장인물들이 보이는 정체
성의 고집과 혼란을 일관해서 바라보는 것이다. 그러면 시마무라의 ‘허무’
는 군국주의가 지배하는 사회규율이 강요하는 세계와 정체성이 갈등을
지속하고 선택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즉 일본문화의 원심력에 가담하지
않으려는 개인의 주체성이 실패할 수밖에 없는 사회문화적인 환경. 그
안에서 개인은 사회적인 규범이 도달하지 못하는 곳으로 도피하고 새로운
감각으로 자신의 감정을 채워가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설국>이라는
텍스트를 상호문화적인 관점으로 읽으면 우리의 근대문학을 형성한 지층
을 훨씬 열린 시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상이 경험한 근대의 공포는 <설국>
에서 보인 자의식의 과잉과 매우 닮아 있다. ‘시마무라’가 질주하는 설국은
시인 이상이 ‘오감도’를 통해 탈주하고자 하는 욕망이다. 근대 기획에 대한
지금-여기에서의 성찰적 작업은 근대에서 근대를 비판적으로 바라보았던
사람들의 인식에서 출발해야 한다. 그것이 일본이든, 한국이든 유사한 환경
에서 진행된 것이라면 우리의 근대기획에 대한 새로운 성찰을 시도할 수
있는 자료다. 따라서 상호문화적인 관점으로 일본문학을 읽고 재평가하는
작업은 우리의 근대에 대한 성찰적 작업의 연장선상이라고 볼 수 있다.
5. 상호문화성 교육의 지평
참고문헌
1970), 문예출판사.
이성영(2003), 생태학적으로 타당한 독서 교육을 위하여, 한국초등국어교육
22,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이어령(2008), 축소지향형의 일본인, 문학사상사.
이지헌・김선・김희봉 역(2008), 행복과 교육(Noddings, Nel, Happiness and
education, 2003), 학이당.
이한음 역(2011), 인간 본성에 대하여(Wilson, Edward, On human nature, 1979),
사이언스북스, 176-178쪽.
임재해(2002), 민속문화의 생태학적 인식, 당대, 129쪽.
임춘식(1999), 현대 사회와 인간 소외, 유풍출판사, 145-146쪽.
정영근(2006), 상호문화교육의 일반교육학적 고찰, 교육철학 37, 한국교육철학
회, 31-32쪽.
조동일(1997), 카타르시스・라사・신명풀이, 지식산업사, 156쪽.
조성훈 역(2007), 지정학적 미학(Jameson, Fredric, The Geopolitical Aesthetic
: Cinema and Space in the World System, 1995), 현대미학사, 107-108
쪽.
조용환(2011), 다문화교육의 교육인류학적 검토와 존재론적 모색, 교육인류학연
구 14-3, 한국교육인류학회, 3쪽.
최인자(2006), 상생 화용 교육을 위한 소통의 중층적 기제 연구, 국어국문학
144, 국어국문학회, 401쪽.
최재천・장대익 역(2005), 통섭(Wilson, Edward, Consilience : the unity of
knowledge, 1998), 사이언스북스, 93쪽.
한병철 저, 김채환 역(2013), 시간의 향기, 문학과지성사, 62-63쪽.
한상진・김성기(1991), 포스트 모더니즘 이렇게 보아야 한다, 정정호・강내희
편, 포스트 모더니즘의 쟁점, 도서출판 터, 298쪽.
Goody, Jack(2000), The Power of the Written Tradition, Washington & London
: Smithsonian Institute Press, pp. 11.
218 이준영
이 준 영
동국대학교 국어교육학과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114길 56, 래미안1차아파트 303동 303호
135-872
전화번호: 010-8738-9595
전자우편: milanj@naver.com
국문초록
상호문화성에 기반 한 문학 독서교육
이준영(동국대학교)
7)
황 사 윤
(Hwang Sayun)
221
222 황사윤
1. 서론
2.1. 연구 내용 및 대상 자료
2.2. 교수 자료로 쓰인 문학 작품
3.1. 언어 교육 자료
3.2. 문화 교육 자료
종 교/
민 간 ①제주도의 신선 ⑫성경
신 앙
제 도/
관 습/ ①양반 행세, 주인과 노비, 어울리지 않
(없음)
의 식/ 는 결혼, 사위감을 찾다 ⑫혼상예절
의 례
역 사 ⑧조선 면화의 유래 ⑫일본기, 고사기
가 족 ⑫의좋은 형제, 효자 (없음)
(8) 계명산츄야월에장량의옥통쇼소에강동팔천뎨가고향각고허여지
며쟝즁에잠들엇던초왕이놀낫다더라 과지남:203 ②
3.3. 문학 교육 자료
(10) 玉을不磨하면光이無하고人이不學하면知가無하니라.(文語體)
瓜田에不衲履이오, 李下에不整冠이라. (文語體)
朝鮮語の先生:197P ⑧
4. 결론
참고문헌
참고자료(출판연도순)
황 사 윤
영남대학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
경북 경산시 대동 영남대학교
712-749
전화번호: 001-2515-6158
전자우편: hsy2003021@naver.com
국문초록
황사윤(영남대학교)
≪부록 1≫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활동
(2001년 9월~2015년 8월)
1. 학회 연혁
⋅2001년 9월 학회 창립
⋅2001년 9월 초대 회장 성기철 교수 취임
⋅2001년 11월 제1차 해외 워크숍 (일본 동경) 개최
⋅2002년 12월 제2차 해외 워크숍 (중국 대련) 개최
⋅2003년 9월 제2대 회장 성기철 교수 연임
⋅2003년 9월 제2대 학회 임원진 출범
⋅2003년 10월 제3차 해외 워크숍 (중국 북경) 개최
⋅2003년 10월 학회 회칙, 학회 로고 구성
⋅2004년 1월 학회 홈페이지 (www.ink.or.kr) 개설
⋅2004년 1월 <한국언어문화학> 창간기념 기획대담 개최
⋅2004년 5월 학회지 <한국언어문화학> 창간
⋅2004년 5월 제1차 국제학술대회 개최
⋅2004년 10월 중앙민족대학교 한국어과 설립 기념
제1회 중국에서의 한국어・한국문화 국제학술회의 개최
⋅2005년 3월 제4차 해외 워크숍(일본 교토) 개최
한일 수교 40주년 기념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일본 학술대회
⋅2005년 5월 학회지 <한국언어문화학> 제2권 제1호 발간
⋅2005년 5월 제2차 국제학술대회 개최
⋅2005년 10월 제3대 회장 신현숙 교수 취임
⋅2005년 10월 제3대 학회 임원진 출범
⋅2005년 11월 학회지 <한국언어문화학> 제2권 제2호 발간
⋅2006년 5월 학회지 <한국언어문화학> 제3권 제1호 발간
⋅2006년 5월 제3차 국제학술대회 개최
⋅2006년 11월 학회지 <한국언어문화학> 제3권 제2호 발간
⋅2007년 5월 제4차 국제학술대회 개최
246 한국언어문화학
2. 주요 학술 활동
⋅2001년 11월 10일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제1차 해외 워크숍 개최
장소: 일본 동경 YMCA
주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동경한국어교육연구회
공동주최
주제: 日本における韓國語敎育の現在と新たな可能性
참가자: 2개국 100명
⋅2002년 12월 6~8일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제2차 해외 워크숍 개최
(한중 수교 10주년 기념 한국어 교육 워크숍)
장소: 중국 대련 대련외국어대학
후원: 문화관광부, 대련한국문화원
주제: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
참가자: 2개국 80명
⋅2003년 10월 2~5일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제3차 해외 워크숍 개최
장소: 중국 북경 화북전력대학
후원: 문화관광부, 중국 화북전력대학
주제: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의 언어문화적
접근
248 한국언어문화학
발표 논문 수
기조 강연: 1편
주제 발표: 1편
개인 발표: 12편
주요 내용
기조 강연: 온라인 한국어교육의 미래와 전망
주제 발표: 한국어교육 진흥을 위한 매체 활용 전략
주제 토론: 한국어교원 자격 심사 제도 개선 방안
분과별 발표(총 3분과)
Ⅰ. 온라인 한국어교육의 방법과 사례
Ⅱ. 매체를 활용한 한국 언어문화 교육의 방법과 사례
Ⅲ. 한국 언어문화 교육 일반
⋅2014년 1월 1일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임원 회의
장소: 홍제역 그랜드힐튼 호텔 뷔페 레스토랑
주제: 신년하례회, 제17차 학술대회 준비 논의
참가자: 회장단, 감사 및 전체 이사진
학술상 ‘한국언어문화학 신진 연구자 상’ 제정
학술지 1년 2회 발간에서 3회 발간으로 증회
편집위원 임기 논의 및 신규 편집위원 선임
⋅2014년 3월 12일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편집위원회 및 연구윤리위원회
회의
장소: 동국대학교
주제: 한국언어문화학 투고규정 및 투고양식 수정 논의
참가자: 편집위원회 및 연구윤리위원회 임원진
부록 253
발표 논문 수
기조 강연: 1편
주제 특강: 1편
개인 발표: 12편
주요 내용
기조 강연: 한국 언어문화 교육의 질적 향상 방안
주제 특강: 한국 언어문화 교육의 질적 향상 방안
주제 토론: 한국어교육 실습의 효율화 방안
분과별 발표(총 3분과)
Ⅰ. 한국 언어문화 교수-학습의 질적 향상 방안
Ⅱ. 한국 언어문화 교재의 질적 향상 방안
Ⅲ. 한국 언어문화 교육 일반
⋅2014년 11월 24일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편집위원회 및 연구윤리위원회
회의
장소: 동국대학교
주제: 한국언어문화학 제11권 제3호 발간에 따른 제반
논의
참가자: 편집위원회 및 연구윤리위원회 임원진
⋅2015년 2월 4일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임원 회의
부록 255
발표 논문 수
기조 강연: 1편
주제 특강: 1편
초청 특강: 1편
개인 발표: 12편
주요 내용
기조 강연: 한국어의 변화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접근
주제 특강: 언어변화와 한국어교육
초청 특강: 2010년대 독일어 교사 양성 과정의 새
움직임
256 한국언어문화학
10:30~10:50 등 록
10:00~10:30 등 록
10:30~10:40 개회식 사회: 기준성(디지털서울문예대)
개회사: 육효창(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회장/ 디지털서울문예대)
축 사: 유기풍(서강대 총장)
10:40~11:10 기조강연 사회: 김성희(서강대)
발표: 신현숙(전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장/상명대 교수)
11:10~12:10 주제특강 사회: 성상환(서울대)
발표: 황인교(연세대 교수)
12:10~13:30 점심 식사
13:30~14:30 주제토론회: 한국언어문화교육의 방법 좌장: 이관식(호남대)
토론: 신윤경(인천대), 이지영(상명대), 나삼일(대전대), 유해준(서원대)
14:30~14:50 휴 식
제1분과 제2분과 제3분과
한국어 기능 교육의 한국어 어휘・문법 한국언어문화교육 일반
방법과 사례 교육의 방법과 사례
사회: 최권진(인하대) 사회: 김호정(국민대) 사회: 김정우(이화여대)
14:50~15:20 역할극을 통한 무역 한국 중국인 학습자 한국어교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
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육을 위한 고사성어 연구 문식력 향상을 위한 <춘향
- 발표: 엄나영(상해외대) - 발표: LIU YING(Harbin 전> 교육 연구
- 토론: 정인아(서울대) Normal Univ.) - 발표: 김혜진(서울대)
- 토론: 백인선(국민대) - 토론: 고경태(고려대)
15:20~15:50 한국어 교재의 언어 기능 한국어와 몽골어의 관용 청소년의 다문화역량 강
통합 교육 개선 방안 연구 구 대조연구 –손과 손가락 화를 위한 현장중심학습
- 발표: 김민수(상명대) 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미
- 토론: 오지혜(세명대) - 발표: 이길원・절자야 - 발표: 정지현・홍정훈
(동아대) (인하대)
- 토론: 황주원(상명대) - 토론: 박소연(한양대)
15:50~16:10 휴 식
16:10~16:40 한국어교육에서 쓰기 내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의 터키의 한국 문화 교재 ‘한
용지식 구성능력 향상을 존명사 기반의 문법 표현 국을 알아가면서 한국어를
위한 신문 활용 교육 연구 교육 방안 연구 배웁시다’에 대한 분석과
- 발표: 이정현(가톨릭대) - 발표: 박대범(동국대) 개선 방안
- 토론: 조수진(서강대) - 토론: 김영란(상명대) - 발표: 김성주(동국대)
- 토론: 권성미(부경대)
16:40~17:10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잘 한국어교육학 사전의 문 베트남의 한국학 교육・
부탁드립니다’에 관련 연구 법 영역 표제어 선정 원리 연구 현황에 관한 고찰
- 발표: 장미미(연세대) 와 실제 - 발표: 브이킴루언(동아대)
- 토론: 구민지(가톨릭대) - 발표: 신범숙(서울대) - 토론: 니콜라(서강대)
- 토론: 오경숙(서강대)
17:10~17:20 폐회식 사회: 기준성(디지털서울문예대)
폐회사: 육효창(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회장/디지털서울문예대)
260 한국언어문화학
10:30~10:50 등 록
10:50~11:00 개회식 사회 : 기준성(디지털서울문예대)
개회사 : 육효창(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회장/디지털서울문예대)
축 사 : 민현식(국립국어원 원장)
11:00~11:40 기조강연 : 한국 언어문화 교육의 질적 향상 방안 사회 : 이길원(동아대)
발표 : 윤여탁(전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회장/ 서울대 교수)
11:40~12:20 주제특강 : 한국 언어문화 교육의 질적 향상 방안 사회 : 김성희(서강대)
발표 : 김재욱(한국외대 교수)
12:20~13:30 점심 식사
13:30~15:00 초청토론회 : 한국어교육 실습의 효율화 방안 좌장 : 정희원(국립국어원)
토론 : 강남욱(호서대), 고경태(고려대), 오경숙(서강대), 오지혜(세명대)
15:00~15:20 휴 식
제1분과 제2분과 제3분과
한국 언어문화 교수- 한국 언어문화 교재의 한국 언어문화 교육 일반
학습의 질적 향상 방안 질적 향상 방안
사회 : 심상민(경인교대) 사회 : 장향실(상지대) 사회 : 나삼일(대전대)
15:20~15:50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기후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가다’ 한국어 관용 표현의 화용
어휘의 쓰임과 의미 정보 의 의미항목과 그 빈도 적 특징 연구
- 발표 : 계효하(상명대) - 발표 : 김보영(연세대) - 발표 : 김선영(연세대)
- 토론 : 정인아(서울대) - 토론 : 박진철(이화여대) - 토론 : 이수정(서울대)
15:50~16:20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상 한국어 읽기 교재 개발 현 결혼 이민자의 한국 사회
대 경어법 교육 방안 연구 황과 과제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적
- 발표 : 김성월(호서대) - 발표 : 하채현・김지우 절성 연구
- 토론 : 번웨이샤(세명대) (전주대, 한국외대) - 발표 : 황미혜(부산외대)
- 토론 : 구민지(가톨릭대) - 토론 : 안성희(한국어교
육개발연구원)
16:20~16:50 한국어교원을 위한 한국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학 다문화가정 자녀 멘토링
전통문화교육 수업 모형 텍스트 재구성 방안 연구 에 참여한 대학생 멘토의
개발 - 발표 : 김명권(선문대)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발표 : 권주영(한국외대) - 토론 : 최권진(인하대) - 발표 : 방현희・홍정훈
- 토론 : 신윤경(인천대) (인하대)
- 토론 : 박주영(디지털서
울문예대)
16:50~17:20 융합형 국어교육의 창의 한국어 능력검정시험 대 재외동포 한국어교육 정
인성 교수-학습 방법 연구 책을 위한 모바일 러닝 책 연구
- 발표 : 김규훈・김혜숙 - 발표: 김의진・김혜진 - 발표 : 박소연(가톨릭대)
(동국대) (Tohoku-Gakuin - 토론 : 최은경(동국대)
- 토론 : 김영란(상명대) University)
- 토론 : 유해준(서원대)
17:30~17:40 폐회식 사회 : 기준성(디지털서울문예대)
폐회사 : 육효창(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회장/ 디지털서울문예대)
부록 261
출처 : http://www.worldkorean.net/news/articleView.html?idxno=16134
262 한국언어문화학
09:30~10:00 등 록
10:00~10:20 개회식 사회: 기준성(서울문예대)
개회사 : 육효창(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회장/ 서울문예대)
축 사 : 김혜숙(동국대 사범대학장)
환영사 : 김애주(동국대 CML 창의인성 연구소장)
10:20~11:00 기조강연: 한국어의 변화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접근
사회: 이길원(동아대)
발표: 민현식(서울대/ 전 국립국어원장)
11:00~11:10 휴 식
11:10~12:00 주제특강: 언어변화와 한국어교육
사회: 서혁(이화여대)
발표: 조현용(경희대 국제교육원장)
12:00~13:30 점 심
13:30~14:20 초청특강: 2010년대 독일어 교사 양성 과정의 새 움직임
사회: 김성희(서강대)
발표: 안미란(독일문화원 교원 양성/ 교육협력부)
14:20~14:40 휴 식
제1분과 제2분과 제3분과
한국어 지식 영역 교육 한국어 기능 영역 교육 한국어 태도 영역 교육
사회: 최권진(인하대) 사회: 이미향(영남대) 한국 언어문화 일반
사회: 나삼일(대전대)
≪부록 2≫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회칙
제정 2003. 10. 9.
개정 2005. 11. 12.
개정 2008. 6. 1.
개정 2014. 1. 1.
제1장 총칙
제1조 (명칭)
본 학회는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라 칭한다.
제2조 (목적)
본 학회는, 한국언어문화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고 세계의 언어문화현
상을 비교-대조하여, 국제사회에 한국의 언어문화를 체계적으로 보급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제3조 (사업)
제2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업을 수행한다.
1. 해외 워크숍 개최
2. 학술대회 개최
3. 학술지 발간
4. 홈페이지 운영 및 소식지 발간
5. 위탁 연구 사업 수행
6. 기타 본 학회의 목적에 부합하는 사업
제4조 (위치)
본 학회의 본부는 회장의 소속 기관이나 회장이 지정하는 곳에 둔다. 필요한
경우 국내외에 지부를 둘 수 있다.
부록 265
제2장 회원
제3장 임원
제7조 (종류)
본 학회는 학회 활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임원을 둔다.
⋅회장 1인
⋅부회장
⋅이사
⋅해외이사
⋅감사
제8조 (임무)
1. 회장은 학회를 대표하며 학회 업무를 총괄하고 총회와 이사회의 의장이
된다.
2. 부회장은 회장을 보좌하고 회장 유고 시 회장의 역할을 대행한다.
266 한국언어문화학
제9조 (임기)
회장을 비롯한 모든 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다. 다만 보선에
의하여 선임된 임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잔여 임기로 한다.
제10조 (선출)
1. 회장, 부회장, 감사는 총회에서 적법한 절차에 따라 선출한다.
2. 이사와 간사는 회장이 부회장과 협의하여 위촉한다.
제4장 회의
제11조 (총회)
1. 총회는 회장이 소집함을 원칙으로 한다.
2. 총회는 정기총회와 임시총회로 나누되 정기총회는 매년 1회 개최한다.
3. 총회는 다음 사항을 의결한다.
⋅회장, 부회장, 감사 선출
부록 267
⋅회칙 변경에 관한 일
⋅수입, 지출에 관한 승인
⋅기타 학회 활동과 관련한 주요 사항
4. 총회에서의 일반 의결은 출석회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한다. 단 회칙 변경에
대하여는 출석회원 3분의 2의 찬성으로 한다.
제12조 (이사회)
1. 이사회는 회장이 의장을 맡으며 회장, 부회장, 이사로 구성한다.
2. 이사회는 본 학회의 활동과 관련한 주요 사항을 논의하고 의결한다.
3. 이사회는 필요에 따라 회장이 소집한다.
제13조 (연구위원회)
1. 연구위원회는 (연구)부회장이 의장을 맡으며 (연구)부회장, 연구이사로 구
성한다.
2. 연구위원회는 본 학회의 연구 활동(해외워크숍과 학술대회 개최 등)과 관련
한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한다.
3. 연구위원회는 필요에 따라 연구위원장이 소집한다.
제14조 (편집위원회)
1. 편집위원회는 (편집)부회장이 의장을 맡으며 (편집)부회장, 편집이사, 편집
위원으로 구성한다.
2. 편집위원회는 학술지 발간과 관련한 주요 사항을 논의하고 의결한다.
3. 편집위원회는 필요에 따라 편집위원장이 소집한다.
제15조(연구윤리위원회)
1. 회장 직속으로 연구윤리위원회를 두어 학술지와 학술 발표회를 포함한
연구 윤리에 관한 업무를 관장한다.
2. 연구윤리위원의 위촉과 연구윤리위원회 운영에 관한 사항은 별도의 규정에
따른다.
3. 연구윤리위원회와 편집위원회는 별도로 운영하되, 일부 위원은 겸임할 수
있다.
268 한국언어문화학
제5장 재정
제16조 (재정)
본 학회의 재정은 다음 재원으로 충당한다.
⋅회원의 회비 (입회비, 회비(연회비, 평생회비)
⋅회원의 찬조금
⋅외부 지원금
⋅기타 수입
부칙
≪부록 3≫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연구 윤리 규정
제정 2008. 6. 1.
개정 2009. 9. 1.
개정 2014. 1. 1.
제1장 총칙
제1조 (목적)
이 규정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이하 ‘본 학회’라 한다.)의 학술 연구 활동에
관한 연구 윤리의 지침을 제시하고, 윤리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장 연구윤리위원회
제5조 (목적)
본 학회를 통해 연구를 수행하거나 발표하려는 자의 연구 부정 행위 및 연구비
등의 부정 사용 행위를 적극적으로 예방하고, 그러한 행위가 발생할 경우
이를 조사・처리하기 위하여 연구윤리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부록 271
제7조 (위원장)
1. 위원회는 위원장 1인을 두되 위원장은 위원회 위원 중에서 호선한다.
2. 위원장은 위원회의 회무를 총괄하며 위원회를 대표한다.
3. 위원장이 심의 사항과 관련하여 심의 대상자 또는 이해 당사자가 되었거나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때에는 회장이 지명한 위원이 그
직무를 대행한다.
4. 위원장은 심의 사항을 공정하고 효율적이며 일관되게 심의할 수 있도록
회의를 운영하여야 한다.
5. 위원장은 심의 사항과 관련하여 심의 대상자 또는 이해 당사자의 권리가
침해되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6. 위원장은 위원회 위원 중 일부가 심의 사안과 관련이 있을 경우 해당 위원이
심의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7. 위원장은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영향이 위원회 위원에게 미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제8조 (위원)
1. 위원은 진실에 기초하여 성실하고 공정하게 심의를 수행하여야 한다.
2. 위원은 심의 사안과 관련하여 인지한 내용을 사적으로 공표하지 않아야
하며, 개인의 사적 자유와 인격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3. 위원은 심의에 대한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영향을 거부하여야 한다.
4. 위원회의 위원이 심의 대상이 될 경우, 즉각 해당 심의 안건의 위원 자격이
정지된다.
272 한국언어문화학
제9조 (간사)
1. 위원회의 회의를 원활히 하기 위해 위원장이 지명하는 1인의 간사를 둔다.
2. 간사는 위원장 및 회장의 승인을 얻어 다음과 같은 위원회의 사무를 처리한다.
1) 위원회 회의를 위한 실무 전반에 관한 사항
2) 위원회 회의에 따른 조치, 보고 등에 관한 사항
3) 기타 위원회 활동과 관련한 업무
제10조 (회의)
1. 위원장은 위원회의 회의를 소집하고, 그 의장이 된다.
2. 위원회의 회의는 정기회의와 임시회의로 구분하되, 정기회의 일시는 정해진
학술지 발간일을 고려하여 위원장이 결정하고, 임시회의는 위원장이 필요하
다고 인정할 때에 소집한다.
3. 위원회의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회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4. 연구 부정행위나 연구비 등 부정 사용 행위에 대한 제소 또는 기타 다른
과정을 통한 인지로 인해 조사가 필요한 경우, 위원회는 별도의 조사위원회
를 두어 조사하게 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심의하여 판정하여야 한다.
제11조 (자문위원)
1. 위원회의 심의 사항에 대하여 해당 분야 전문가의 자문이 필요한 경우에는
자문위원을 둘 수 있으며, 자문위원은 위원장의 추천을 받아 회장이 위촉한다.
2. 심의 안건에 대해 자문위원의 의견을 구하였을 경우, 위원장은 그 의견
내용을 위원회에 공개하여야 한다.
제12조 (소위원회)
1. 위원회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위원회에
소위원회를 둘 수 있다.
2. 소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위원장이 정한다.
제13조 (기능)
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한다.
1. 본 학회에서 발간하는 정기 간행 학술지인 한국언어문화학을 포함하여
부록 273
제3장 연구 윤리의 검증
제17조 (예비조사)
1. 위원회는 본 학회 차원에서 인지하였거나 또는 제보 접수 보고를 받은
날로부터 20일 이내에 3인 이하의 소위원회를 구성하여 예비조사를 하여야
한다.
2. 피조사자가 예비조사 결과를 모두 인정한 경우에는 본조사 절차를 거치지
않고 부정행위 여부에 대한 판정을 내릴 수 있다.
3. 예비조사 결과 부정행위가 없음이 명백하다고 판단될 경우, 위원회는 조사
결과를 제보자에게 서면으로 통보한다. 다만, 익명 제보의 경우는 그러지
아니한다.
제18조 (본조사)
1. 위원회는 본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다음 각 호의 규정에 따라
본조사위원회를 구성하여 본조사를 하도록 한다.
1) 위원 수는 5인 이상으로 한다.
2) 조사 사안과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위원으로 참여할 수 없다.
2. 본조사위원회는 조사 과정에서 제보자・피조사자・증인 및 참고인에 대하여 진술
을 위한 출석을 요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피조사자는 반드시 응하여야 한다.
3. 본조사위원회는 피조사자에게 자료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피조사자는 반드시 해당 자료를 제출하여야 한다.
4. 본조사위원회는 제보자와 피조사자에게 의견 진술의 기회를 주어야 하며,
본조사 결과를 확정하기 이전에 이의제기 및 변론의 기회를 주어야 한다.
당사자가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의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5. 본조사위원회의 개별적인 조사 활동 수행에 필요한 구체적인 지침 등은
연구윤리위원회가 따로 정한다.
제19조 (판정)
1. 본조사위원회는 조사가 완료되면 조사 결과를 즉시 연구윤리위원회에 보고
하여야 하며, 연구윤리위원회는 심의 후 조사 결과를 확정하고, 확정된 결과
를 지체 없이 피조사자와 제보자에게 서면으로 통보하여야 한다.
2. 예비조사 착수 이후 판정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조사 일정은 6개월 이내에
부록 275
제20조 (재조사)
1. 피조사자 또는 제보자는 판정에 불복할 경우 결정을 통지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연구윤리위원회에 서면으로 재심의를 요청할 수 있다.
2. 위원회는 재심의 요청이 타당하다고 판단될 경우, 재심의 요청 사유를 중심
으로 재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재조사는 18조 본조사에 대한 규정에 준하여
재조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시행하되, 조사와 판정 일정은 60일 이내로 한다.
제4장 연구 관련 부정 행위 제보
제5장 연구 윤리 규정의 개정
부칙
≪부록 4≫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제1장 총칙
제1조 (명칭)
본 위원회는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편집위원회라 칭한다.
제2장 구성
제3장 회의
부칙
≪부록 5-1≫
<한국언어문화학> 투고 규정
1) 심사료 및 게재료 액수
심사료 전임: 80,000원 / 비전임 : 60,000원
연구비 비수혜 전임: 100,000원 / 비전임 : 60,000원
게재료 교내 연구비 수혜 논문: 200,000원
연구비 수혜
교외 연구비 수혜 논문: 300,000원
2) 학회 계좌 : 신한은행 110-399-235814 예금주: 서혁
7. 투고자는 전자우편(edit-ink@daum.net)으로 원고를 보낸 뒤에 편집위원회
에 원고 접수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편집위원회에서는 논문을 접수
했을 때 투고자에게 확인 메일을 발송한다.).
8. 투고자는 심사 후 원고 게재가 확정될 경우 투고 논문에 대한 저작재산권을
학회에 양도한다는 <저작재산권 양도 확인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본 학회
소정 양식)
9. 투고자는 논문 투고 시 <연구윤리서약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본 학회
소정 양식)
(영문 초록 작성 예)
(국문 초록 작성 예)
2. 본문 형식
1) 편집 양식
① 용지 종류: 사용자 정의 폭 162, 길이 233
② 용지 여백: 위쪽 20, 아래쪽 20, 왼쪽 29, 오른쪽 28, 제본 0, 머리말
12, 꼬리말 6
③ 기본 글꼴: 국문은 ‘신명조’, 영문은 ‘Times New Roman’으로 통일
④ 글자 모양 및 문단 모양
부록 283
100-100
전화번호: OOO-OOO-OOOO
전자우편: edit-ink@daum.net
3. 참고문헌
1) 참고문헌은 본문에 인용한 문헌만을 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참고문헌은 동양서(한, 중, 일, 기타), 서양서 순으로 열거하되, 동양서는
가나다순으로, 서양서는 알파벳순으로 한다.
3) 소논문은 반드시 학술지에 수록된 범위의 쪽수를 밝힌다.
4) 공저 및 공동저자 표시는 가운뎃점으로 표시하고, 4인 이상은 ‘민현식 외
(2007)’와 같이 작성한다.
5) 동양서 문헌의 경우, 단행본과 정기간행물의 책명에 (겹낫표)를 표시하되
정기간행물의 논문 제목에는 다른 기호를 넣지 않는다. 단 겹낫표는 문자표
입력(Ctrl+F10)이 아닌, 입력기 환경설정(Alt+F2)에서 ‘겹낫표 입력’을 선택
하여 직접 입력한다.
6) 서양서 문헌의 경우, 단행본과 정기간행물의 책명은 ‘글자 속성’에서 ‘기울
임(이탤릭체)’을 이용하여 작성하되 각 단어의 첫 글자를 모두 대문자로
표기한다. 단 서양 논문의 제목은 첫 글자만 대문자로 표기한다.
7) 참고문헌 작성 형식
가. 국문 문헌
① 단행본
저자명(발행년도), 서명, 발행지: 출판사.
고영근・남기심(편)(1983), 국어의 통사・의미론, 서울: 탑출판사.
최현배(1937/1971), 우리말본, 서울: 정음사.
김광해(1994), 문체와 어휘, 박갑수 편, 국어문체론, 서울: 대한
교과서(주).
② 소논문
저자명(발행년도), 논문명, 학술지명 권수-호수, 학회명, OO-OO쪽.
이숭녕(1978), 국어 음성 상징론에 대하여, 언어 3, 한국언어학
회, 23-34쪽.
윤여탁(2013), 문학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연구, 한국
언어문화학 10-2,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49-176쪽.
부록 285
③ 학위논문
저자명(학위수여년도), 논문명, 학위수여기관명 (OO)대학원 학위명.
조수진(2007), 한국어 말하기 교수의 원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④ 번역서
저자명 역(발행년도), 서명(원문 저자, 원문 제목, 발행년도), 발행
지: 출판사.
이익환・권경원(공역)(1991), 화용론(S.C. Levinson, Pragmatics,
1983), 서울: 한신문화사.
나. 영문 문헌
① 단행본
저자명(발행년도), 서명, 발행지: 출판사.
Chomsky, N.(1981), Lectures on Government and Binding,
Dordrecht: Foris.
② 소논문
저자명(발행년도), 논문명, 학술지명 권수-호수, pp. 000-000.
Chomsky, N.(1980), On binding, Linguistic Inquiry 11, pp.
134-145.
Shin, J., Eslami, Z. and Chen, W.(2011), Presentation of local
and international culture in current international English-language
teaching textbooks, Language, Culture and Curriculum 24-3,
pp. 253-268.
다. 참고 교재
저자명(발행년도), 서명 권수, 발행지: 출판사.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2011), 이화 한국어 2-1, 서울: 이화여
자대학교출판부.
서강대학교 한국어교육원(2009), 서강 한국어 4A, 서울: 서강대학
교국제문화교육원.
286 한국언어문화학
라. 기타 (참고 자료)
1) 신문기사
기자 이름, 기사 제목, ○○신문, 발행일, 발행 면.
이은주・정서린, 한국영화가 1930년대로 간 까닭은?, 서울신문,
2007년 12월 29일자 기사, 15면.
2) 웹사이트
① 전자문서
저자명(발행년도), 전자문서명, 웹사이트 주소(접속년도.월.일.)
연구윤리정보센터(2012), 연구윤리주제,
http://www.cre.or.kr/contents/ethics-about/(2012.03.05.)
② 인터넷 자료
사이트명 (URL 주소)
한국정보화진흥원 사이트(http://www.nia.or.kr)
대한민국IT봉사단 커뮤니티(http://club.cyworld.com/kado-kiv)
3) 문학작품 등의 표기 (내용주, 제목 등의 경우)
① 문집 및 단행본
작가명(발행년도), 서명, 발행지: 출판사.
신경숙(2008), 엄마를 부탁해, 서울: 창비.
② 작품
작가명(발행년도), <작품명>, 작품집, 발행지: 출판사.
박민규(2005), <코리안 스텐더즈>, 카스테라, 서울: 문학동네.
욱청(2005), <홍루몽>과의 비교를 통한 <춘향전> 교육 연구 -중
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부록 287
4. 논문 구성
논문의 전체 구성은 다음과 같이 한다.
(두 줄 띄움)
[제목](15포인트, 진하게)
[-부제목-](12포인트, 진하게)
(한 줄 띄움)
(두 줄 띄움)
참고문헌(11포인트, 진하게)
(한 줄 띄움)
[참고문헌]
(8포인트, 장평 95%, 자간 -4%, 줄간격 140%, 왼쪽 여백 6, 내어쓰기 30)
(두 줄 띄움)
[저자 정보](9포인트, 장평 95%, 자간 -4%, 줄간격 140%)
(다음 장)
<국문초록> (9포인트, 장평 95%, 자간 -4%, 줄간격 140%, 왼쪽・오른쪽 여백 25)
(한 줄 띄움)
[제목](15포인트, 진하게)
[-부제목-](12포인트, 진하게)
(한 줄 띄움)
14) [각주 내용] (9포인트, 장평 95%, 자간 -4%, 줄간격 140%, 내어쓰기 12)
부록 289
≪부록 5-2≫
20 . .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연구윤리위원회 귀중
290 한국언어문화학
≪부록 5-3≫
연구 윤리 자가 점검표
위 사항을 모두 준수하였습니다.
≪부록 5-4≫
저작재산권 양도 확인서
1. 성명: O O O (인)
2. 논문 제목
국문:
영문:
저자 이름 소속 및 직함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서명
제1
저자
제2
저자
제3
저자
부록 293
≪부록 6≫
<한국언어문화학> 심사 규정
제1장 심사 기준
제2조 (평가)
1. 논문 심사는 총 100점 만점으로 평가한다.
2. 논문 게재 여부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정한다.
1) 게재: 총점 80점 이상
2) 수정 후 게재: 총점 70점 이상
3) 수정 후 재심사: 총점 60점 이상
4) 게재 불가: 총점 60점 미만
294 한국언어문화학
제2장 심사 절차
제6조 (심사)
각 심사위원은 100점 만점으로 평가한다.
≪부록 7≫
논문심사서
한국언어문화학 제11권 제3호 투고논문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심사 위원 전화번호
소 속 직 위
은행/예금주 계좌번호
논문 제목
수정 후 수정 후 게재
논문 평가 게재
게재 재심사 불가
※ 게재:(80점 이상). 수정 후 게재(70~79점). 수정 후 재심사(60~69점). 게재 불가(60점 미만)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
296 한국언어문화학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
1 2 3 4 5 6 7 8 9 10
합계(총점): / 100
부록 297
논 문 심 사 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논문제목
심사
의견
및
수정
요구
사항
298 한국언어문화학
≪부록 8≫
제1장 총 칙
제4장 상( )
제5장 보칙( )
부 칙
≪부록 9≫
입회신청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입회신청서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Membership Application
□ 평생회원 □ 연회원
성명 (한글) (한자)
(Name) (영문)
생년월일
(Date of Birth)
(학사) 대학교 대학 과
학위 (석사) 대학교 대학 과
(Academic Background)
(박사) 대학교 대학 과
전공부문
(Fields of Interest)
소속
(Affiliations)
주소
(Addresses)
전화
(Phone)
E-mail / FAX
주요 논저
(Works & Publications)
년 월 일
성명 (서명)
<회비 납부 안내>
▣ 개인회원
일반회원: 입회비 1만 원 + 연회비 3만 원 = 4만 원
평생회원: 평생회비 30만 원
▣ 기관회원
연회비 6만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