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완전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수론에서 완전수(完全數)는 자기 자신을 제외한 양의 약수(진약수)를 더했을 때 자기 자신이 되는 양의 정수를 말한다. 또는 모든 양의 약수를 더했을 때 자기 자신의 2배가 되는 수를 말하기도 한다.

최초 6개의 완전수는 0, 6, 28, 496, 8128, 33550336이다.

   0 = 0
   6 = 1 + 2 + 3
  28 = 1 + 2 + 4 + 7 + 14
 496 = 1 + 2 + 4 + 8 + 16 + 31 + 62 + 124 + 248
8128 = 1 + 2 + 4 + 8 + 16 + 32 + 64 + 127 + 254 + 508 + 1016 + 2032 + 4064

짝수 완전수

[편집]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들 네 개의 완전수밖에는 알지 못했다. 유클리드는 이들을 에 알맞은 수를 대입해 구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n = 1 일 때:   20 · (21 − 1) = 0
n = 2 일 때:   21 · (22 − 1) = 6
n = 3 일 때:   22 · (23 − 1) = 28
n = 5 일 때:   24 · (25 − 1) = 496
n = 7 일 때:   26 · (27 − 1) = 8128

이때 은 언제나 소수이지만 이 소수라고 2n − 1도 꼭 소수가 되지는 않는다. 2n − 1이 소수일 때는 이를 메르센 소수라고 부른다. 마랭 메르센17세기정수론과 완전수를 연구한 수도승이었다.

즉, 짝수 완전수와 메르센 소수 사이에는 일대일 대응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모든 짝수 완전수가 꼴이므로, 모든 짝수 완전수는 연속된 자연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메르센 수가 소수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숫자는 과잉수가 된다. 그와 동시에 모두 반완전수이기도 하다. 그러한 예는 120, 2016, 32640, 130816 등이 있다. 15, 63, 255, 511 등은 모두 메르센 수들 중에서 소수가 아닌 합성수이기 때문이다.

   0 = 0
   6 = 1 + 2 + 3
  28 = 1 + 2 + 3 + 4 + 5 + 6 + 7
 496 = 1 + 2 + 3 + 4 + 5 + 6 + 7 + 8 + 9 + . . . + 30 + 31


메르센 소수의 수가 유한한지 무한한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므로 짝수 완전수의 수가 무한한지도 알려져 있지 않다.

홀수 완전수

[편집]
수학의 미해결 문제
홀수 완전수는 존재하는가?
(더 많은 수학의 미해결 문제 보기)

만약 홀수 완전수가 존재한다면 그 수는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 101500보다 크다.[1]
  • 105로 나누어떨어지지 않으며[2] N ≡ 1 (mod 12) 또는 N ≡ 81 (mod 324) 또는 N ≡ 117 (mod 468)꼴이다.[3]
  • 가장 큰 소인수는 108보다 크고[4] 보다 작다.[5]
  • 두 번째로 가장 큰 소인수는 10000보다 크고,[6] 보다 작다.[7]
  • 세 번째로 가장 큰 소인수는 100보다 크고,[8] 보다 작다.[9]
  • 소인수는 중복을 포함하여 적어도 101개이고 서로 다른 소인수는 10개 이상이다.[1][10] 만약 3이 인수가 아니면, 서로 다른 소인수는 적어도 12개이다.[11]
  • N의 형태이며 다음을 만족시킨다.
  • 는 서로 다른 소수이다. (오일러)
  • (오일러)
  • N의 가장 작은 소인수는 이하이다.[12]
  • N을 나누는, 1062보다 큰 소수의 거듭제곱수가 적어도 하나 있다.[1]
  • [13][14]
  • .[12][15][16]
  • .[17]

더 나아가서 지수 e1, ..., ek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알려져 있다.

  • 모든 eiei ≡ 1 (mod 3)인 것은 아니다.[18]
  • (e1, ..., ek) ≠ (1, ..., 1, 3),[19] (1, ..., 1, 5), (1, ..., 1, 6).[20]
  • e1 = ... = ek = e인 경우,
    • e는 3,[21] 5, 6, 8, 11, 14, 18,[20] 24[22]가 아니다.
    • , .[23]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Ochem, Pascal; Rao, Michaël (2012). “Odd perfect numbers are greater than 101500 (PDF). 《Mathematics of Computation81 (279): 1869–1877. doi:10.1090/S0025-5718-2012-02563-4. ISSN 0025-5718. Zbl 1263.11005. 
  2. Kühnel, Ullrich (1950). “Verschärfung der notwendigen Bedingungen für die Existenz von ungeraden vollkommenen Zahlen”. 《Mathematische Zeitschrift》 (독일어) 52: 202–211. doi:10.1007/BF02230691. S2CID 120754476. 
  3. Roberts, T (2008). “On the Form of an Odd Perfect Number” (PDF). 《Australian Mathematical Gazette》 35 (4): 244. 
  4. Goto, T; Ohno, Y (2008). “Odd perfect numbers have a prime factor exceeding 108 (PDF). 《Mathematics of Computation》 77 (263): 1859–1868. Bibcode:2008MaCom..77.1859G. doi:10.1090/S0025-5718-08-02050-9. 2011년 3월 30일에 확인함. 
  5. Konyagin, Sergei; Acquaah, Peter (2012). “On Prime Factors of Odd Perfect Numbers”. 《International Journal of Number Theory》 8 (6): 1537–1540. doi:10.1142/S1793042112500935. 
  6. Iannucci, DE (1999). “The second largest prime divisor of an odd perfect number exceeds ten thousand” (PDF). 《Mathematics of Computation》 68 (228): 1749–1760. Bibcode:1999MaCom..68.1749I. doi:10.1090/S0025-5718-99-01126-6. 2011년 3월 30일에 확인함. 
  7. Zelinsky, Joshua (July 2019). “Upper bounds on the second largest prime factor of an odd perfect number”. 《International Journal of Number Theory》 15 (6): 1183–1189. arXiv:1810.11734. doi:10.1142/S1793042119500659. S2CID 62885986. .
  8. Iannucci, DE (2000). “The third largest prime divisor of an odd perfect number exceeds one hundred” (PDF). 《Mathematics of Computation》 69 (230): 867–879. Bibcode:2000MaCom..69..867I. doi:10.1090/S0025-5718-99-01127-8. 2011년 3월 30일에 확인함. 
  9. Bibby, Sean; Vyncke, Pieter; Zelinsky, Joshua (2021년 11월 23일). “On the Third Largest Prime Divisor of an Odd Perfect Number” (PDF). 《Integers》 21. 2021년 12월 6일에 확인함. 
  10. Nielsen, Pace P. (2015). “Odd perfect numbers, Diophantine equations, and upper bounds” (PDF). 《Mathematics of Computation》 84 (295): 2549–2567. doi:10.1090/S0025-5718-2015-02941-X. 2015년 8월 13일에 확인함. 
  11. Nielsen, Pace P. (2007). “Odd perfect numbers have at least nine distinct prime factors” (PDF). 《Mathematics of Computation》 76 (260): 2109–2126. arXiv:math/0602485. Bibcode:2007MaCom..76.2109N. doi:10.1090/S0025-5718-07-01990-4. S2CID 2767519. 2011년 3월 30일에 확인함. 
  12. Zelinsky, Joshua (2021년 8월 3일). “On the Total Number of Prime Factors of an Odd Perfect Number” (PDF). 《Integers》 21. 2021년 8월 7일에 확인함. 
  13. Chen, Yong-Gao; Tang, Cui-E (2014). “Improved upper bounds for odd multiperfect numbers.”. 《Bulletin of the Australian Mathematical Society》 89 (3): 353–359. doi:10.1017/S0004972713000488. 
  14. Nielsen, Pace P. (2003). “An upper bound for odd perfect numbers”. 《Integers》 3: A14–A22. 2021년 3월 23일에 확인함. 
  15. Ochem, Pascal; Rao, Michaël (2014). “On the number of prime factors of an odd perfect number.”. 《Mathematics of Computation83 (289): 2435–2439. doi:10.1090/S0025-5718-2013-02776-7. 
  16. Graeme Clayton, Cody Hansen (2023). “On inequalities involving counts of the prime factors of an odd perfect number” (PDF). 《Integers》 23. arXiv:2303.11974. 2023년 11월 29일에 확인함. 
  17. Pomerance, Carl; Luca, Florian (2010). “On the radical of a perfect number”. 《New York Journal of Mathematics》 16: 23–30. 2018년 12월 7일에 확인함. 
  18. McDaniel, Wayne L. (1970). “The non-existence of odd perfect numbers of a certain form”. 《Archiv der Mathematik》 21 (1): 52–53. doi:10.1007/BF01220877. ISSN 1420-8938. MR 0258723. S2CID 121251041. 
  19. Kanold, Hans-Joachim (1950). “Satze uber Kreisteilungspolynome und ihre Anwendungen auf einige zahlentheoretisehe Probleme. II”. 《Journal für die reine und angewandte Mathematik188 (1): 129–146. doi:10.1515/crll.1950.188.129. ISSN 1435-5345. MR 0044579. S2CID 122452828. 
  20. Cohen, G. L.; Williams, R. J. (1985). “Extensions of some results concerning odd perfect numbers” (PDF). 《Fibonacci Quarterly23 (1): 70–76. ISSN 0015-0517. MR 0786364. 
  21. Hagis, Peter Jr.; McDaniel, Wayne L. (1972). “A new result concerning the structure of odd perfect number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32 (1): 13–15. doi:10.1090/S0002-9939-1972-0292740-5. ISSN 1088-6826. MR 0292740. 
  22. McDaniel, Wayne L.; Hagis, Peter Jr. (1975). “Some results concerning the non-existence of odd perfect numbers of the form (PDF). 《Fibonacci Quarterly13 (1): 25–28. ISSN 0015-0517. MR 0354538.  |title=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78) (도움말)
  23. Yamada, Tomohiro (2019). “A new upper bound for odd perfect numbers of a special form”. 《Colloquium Mathematicum》 156 (1): 15–21. arXiv:1706.09341. doi:10.4064/cm7339-3-2018. ISSN 1730-6302. S2CID 119175632. 
pFad - Phonifier reborn

Pfad - The Proxy pFad of © 2024 Garber Painting. All rights reserved.

Note: This service is not intended for secure transactions such as banking, social media, email, or purchasing. Use at your own risk. We assume no liability whatsoever for broken pages.


Alternative Proxies:

Alternative Proxy

pFad Proxy

pFad v3 Proxy

pFad v4 Prox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