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화 구리(I)
보이기
이름 | |
---|---|
IUPAC 이름
Copper(I) chloride
| |
별칭
Cuprous chloride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8127933 | |
ChEBI | |
ChemSpider | |
DrugBank | |
ECHA InfoCard | 100.028.948 |
EC 번호 |
|
13676 | |
PubChem CID
|
|
RTECS 번호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uCl | |
몰 질량 | 98.999 g/mol[1] |
겉보기 | white powder, slightly green from oxidized impurities |
밀도 | 4.14 g/cm3[1] |
녹는점 | 423 °C (793 °F; 696 K)[1] |
끓는점 | 1,490 °C (2,710 °F; 1,760 K) (decomposes)[1] |
0.047 g/L (20 °C)[1] | |
용해도곱 (Ksp)
|
1.72×10−7 |
용해도 | insoluble in ethanol, acetone;[1] soluble in concentrated HCl, NH4OH |
띠간격 | 3.25 eV (300 K, direct)[2] |
자화율 (χ)
|
-40.0·10−6 cm3/mol[3] |
굴절률 (nD)
|
1.930[4] |
구조 | |
Zincblende, cF20 | |
F43m, No. 216[5] | |
a = 0.54202 nm
| |
단위 세포 부피 (V)
|
0.1592 nm3 |
단위 세포 화학식 (Z)
|
4 |
위험 | |
물질 안전 보건 자료 | JT Baker |
GHS 그림문자 | |
신호어 | 경고 |
H302, H400, H410 | |
P264, P270, P273, P301+312, P330, P391, P501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인화점 | Non-flammable |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 |
LD50 (median dose)
|
140 mg/kg |
NIOSH (미국 건강 노출 한계): | |
PEL (허용)
|
TWA 1 mg/m3 (as Cu)[6] |
REL (권장)
|
TWA 1 mg/m3 (as Cu)[6] |
IDLH (직접적 위험)
|
TWA 100 mg/m3 (as Cu)[6] |
관련 화합물 | |
다른 음이온
|
Copper(I) fluoride Copper(I) bromide Copper(I) iodide |
다른 양이온
|
Silver(I) chloride Gold(I) chloride |
관련 화합물
|
Copper(II) chloride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염화 구리(I)(Copper(I) chloride)는 화학식 CuCl을 갖는 구리의 염화 이온이다. 이 물질은 물에 겨우 녹는 백색 고체이지만 고농축 염산에는 매우 잘 녹는다. 염화 구리(II)(CuCl2)의 존재로 인해 불순물 견본이 녹색으로 나타난다.[7]
역사
[편집]로버트 보일이 17세기 중순에 처음 준비하였다.
- HgCl2 + 2 Cu → 2 CuCl + Hg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Haynes, William M., 편집. (2011).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92판. Boca Raton, FL: CRC Press. 4.61쪽. ISBN 1439855110.
- ↑ Garro, Núria; Cantarero, Andrés; Cardona, Manuel; Ruf, Tobias; Göbel, Andreas; Lin, Chengtian; Reimann, Klaus; Rübenacke, Stefan; Steube, Markus (1996). “Electron-phonon interaction at the direct gap of the copper halides”. 《Solid State Communications》 98 (1): 27–30. Bibcode:1996SSCom..98...27G. doi:10.1016/0038-1098(96)00020-8.
- ↑ Haynes, William M., 편집. (2011).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92판. Boca Raton, FL: CRC Press. 4.132쪽. ISBN 1439855110.
- ↑ Patnaik, Pradyot (2002) Handbook of Inorganic Chemicals. McGraw-Hill, ISBN 0-07-049439-8
- ↑ Hull, S.; Keen, D. A. (1994). “High-pressure polymorphism of the copper(I) halides: A neutron-diffraction study to ~10 GPa”. 《Physical Review B》 50 (9): 5868–5885. Bibcode:1994PhRvB..50.5868H. doi:10.1103/PhysRevB.50.5868. PMID 9976955.
- ↑ 가 나 다 NIOSH Pocket Guide to Chemical Hazards. “#0150”. 미국 국립 직업안전위생연구소 (NIOSH).
- ↑ Pastor, Antonio C. (1986) 미국 특허 4,582,579 "Method of preparing cupric ion free cuprous chloride" Section 2, lines 4–41.